-
콜레스테롤과 고지혈증에 대한 이해카테고리 없음 2020. 3. 17. 15:40
첫째, 콜레스테롤에 대한 이해 콜레스테롤(cholesterol)은 잘 알려져 있듯이 스테로이드와 알코올을 합성해 만든 지질(lipid)이라고 불리는 유기 분자(organic molecule)에 속한다. 지질(lipid)과 지방(fat)은 여러 사람으로부터 혼용돼 같은 개념으로 쓰이지만 지방은 엄격히 말해 지질에 속하는 물질이지 지질 그 자체가 아니다. 보통 사람들에게 이 두 가지 차이는 중요하지 않을 수 있지만 콜레스테롤에 대해 과학적으로 세밀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구별해서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지질은 핵산, 단백질, 탄수화물 등과 같은 생체분자그룹으로 이 지질에는 왁스, 스테로이드, 콜레스테롤, 지방, 인지질(phospholipid), 모노글리세리드(monoglyceride), 디글리세리드(diglyceride) 등이 포함된다. 이런 엄격한 구분에서 고지혈증(hyperlipidemia)은 혈액 내 지질이 높은 것이고, 고콜레스테롤증(hypercholesterolemia)은 지질에 속하는 콜레스테롤이 높아 차이가 난다. 그러면 어차피 콜레스테롤을 포함한 지질 하나의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구분이 필요하지 않고 혼용해 많이 쓰인다. 인체가 필요로 하는 전체 콜레스테롤의 약 75Percent(800-하나 200mg)는 인체 내부에서 자체 합성으로 만들어지고, 자기 나머지 약 25Percent(300-500mg)는 외부적인 sound 식물의 식사로부터 흡수된다. 그리고 체내에서 만들어지는 콜레스테롤 중 약 20Percent 정도가 간에서 만들어지며 자기 나머지 80Percent는 체내 대부분의 세포가 자체 만들어 사용한다. 이처럼 체내 대부분의 세포가 자체적으로 콜레스테롤 합성이 가능하기 때문에 자체 생산으로 충당하기 때문에 간이 자기 소장에서 자신 있는 콜레스테롤을 배달할 필요가 있는 세포는 그리 많지 않다. 대부분의 콜레스테롤은 세포막을 형성하는 데 사용된다. 물론 콜레스테롤은 세포막을 구성하는 것 외에도 스테로이드 호르몬, 담즙산, 비타민D 같은 인간에게 꼭 필요한 물질을 체내에서 만들어내기 위한 매우 중요한 원료다. sound 식물을 통해 외부에서 유입되는 콜레스테롤 중 활성화되지 않는 보존용 형태인 콜레스테롤에스테르(cholesterolester)는 소장에서 흡수할 수 없기 때문에 소장에서 흡수되는 콜레스테롤은 모드에스테르화되지 않은 활동성 자유콜레스테롤(무료 cholesterol)이다. 따라서 소장에서 콜레스테롤은 무한히 흡수되지 않고, 실제로 sound 식물에서 흡수되는 이용 가능한 콜레스테롤은 sound 식물로 자기 온콜레스테롤의 절반 정도로 가라앉지 않는다. 자기 나름의 소장에서 흡수되는 콜레스테롤은 실제로는 인체 내에서 생산되고 소장에서 배출된 콜레스테롤이 재흡수되는 것이다. 또한 인체는 전체 콜레스테롤의 수준이 적절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항상성(homeostasis) 기능을 가지고 있어 상당히 엄격하게 전체 콜레스테롤의 양을 통제하고 관리한다. sound 식물의 식사로 많은 외부 콜레스테롤이 들어가면 인체 내에서 합성되는 콜레스테롤의 양은 줄어들고 그 반대의 경우 인체 내 합성이 증가하도록 조절된다. 이러한 독자적인 콜레스테롤 조절 기능을 보유하고 있으며 sound 식물을 통해 외부에서 유입되는 콜레스테롤의 양이 상대적으로 적은 sound임에도 불구하고 콜레스테롤이 많은 사람에게 문제가 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반면 반대로 콜레스테롤은 좋은 콜레스테롤 또는 자신감 있는 콜레스테롤이라는 구분이 없어 사실상 인체에 필수적인 물질이다. 2. 콜레스테롤과 지질단백질(Lipoprotein) 죽상동맥경화(atherosclerssis)는 지질단백질을 매개로 발생하는 질병이다. 그래서 의학적으로 포도당(glucose)과 활성산소종(ROS)에 따라 지질 단백질이 어떻게 영향을 받느냐가 중요하므로 기본적인 지질 단백질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콜레스테롤은 물에 녹지 않기 때문에 혈관 속의 혈액에 녹아 혈액과 함께 체내를 돌아다니며 필요한 세포에 공급되지 않는다. 혈액은 물과 같은 액체(plasma)로 형성돼 있어 마치 물에 떠 있는 기름방울처럼 콜레스테롤 입자를 밀어낸다. 그래서 콜레스테롤을 혈액을 통해 필요한 곳에 배달하는 운반책이 필요하다. 아포단백질(apoprotein)이 지질에 결합하여 아포지질단백질(apolipoprotein)을 만드는데 이것이 수용성이다. 이들이 운반책인 지질단백질(lipoprotein)을 형성함으로써 지질단백질의 수용성이 확보되어 혈액, 뇌척수액, 이다파선(lymph)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 아포지질 단백질은 C형 간염 바이러스가 인체를 침투할 때도 쉽게 이용될 뿐 아니라 담장에서 이 글의 핵심적인 이야기로 다뤄지지만 콜레스테롤로 인한 심혈관 질환에 있어 치명적인 단백질이기 때문에 쉽게 그 유형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아포지질 단백질은 A, B, C, D, E, H, F, G의 8가지 유형이 있다. A형은 다음에 설명되는 고밀도지질단백질(HDL)에 포함된 아포지질단백질 중 90Percent를 차지하는데 그중에서도 apoA 1개가 주요 성분이다. ApoA하나는 알츠하이머를 예방하는 역할을 한다고도 알려져 있으므로 HDL은 여러 가지로 높은 것이 좋다. 아포지질 단백질 B형이 이 문장에서 핵심적인 단백질인데, 다음 apoB에서 표시되는 단백질이다. VLDL, IDL, LDL, 킬로미크론 모드에 결점씩 들어 있다. 이들 지질 단백질은 사실 apoB가 빠짐없이 들어 있기 때문에 자신감 있는 콜레스테롤 소 sound를 듣는다. 자기 아포지질 단백질 유형은 이 글에서 중요하지 않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지금 이 지질 단백질은 혈관을 통해 콜레스테롤을 필요한 곳에 실어 자신 있는 운반책이 되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그림과 같이 둥근 구형의 지질 단백질 가운데에는 콜레스테롤 에스텔(cholesterylester)과 중성지방(trigly ceride)이 실려 있으며, 이를 둘러싼 외곽에 자유콜레스테롤(무료 cholesterol),인지질(phospholipid), 그리고 아포지질 단백질(apolipoprotein)로 구성되어 있다. 리포 단백질의 크기는 아래 그림과 같이 하나 정하지 않았다. 이러한 차이점들은 중요한 부분에만 관련되어 언급할 것이다. 이처럼 콜레스테롤을 올려 자신에게 만드는 지질 단백질은 밀도가 다른 5가지 종류가 중요하다.
>
>
3. 저밀도지질단백질(LDL), 저밀도지질단백질(Low Density Lipoprotein)을 줄여서 LDL이라고 한다. 여기서 밀도라는 것은 지질 단백질 입자의 크기에 따른 섬세함을 이야기한다. 위의 그림과 같이 LDL은 작은 편이지만 운반하는 콜레스테롤의 비율이 크며, 실제로 인체 콜레스테롤의 2/3 정도를 이 LDL이 실어 본인이 되는 활동을 한다. 주로 콜레스테롤을 간에서 인체의 세포로 운반하여 제공하는 역할을 하므로, 간에서 혈관을 따라 인체의 각 세포에 가는 것이 주된 경로입니다. 반대로 세포에서 간 이동을 통해 어느 정도 콜레스테롤을 제거하는 역할도 하지만 이 역이동은 간접적이고 주요하지 않아 무시한다. 이 LDL은 평소 본인다운 콜레스테롤이라고 불리는데, 엄밀히 말하면 LDL은 콜레스테롤을 포함하고 있지만 콜레스테롤 자체가 아니라 운반책이기 때문에 잘못된 용어입니다. 역시 인체에 필수적인 콜레스테롤을 운반하는 역할을 하므로 본인 나쁜 콜레스테롤이란 존재하지 않는다. 모든 콜레스테롤은 똑같다. 다만 혈액을 통해 콜레스테롤을 운반하려면 불가피하게 물에 녹는 수용성 B형 아포지질 단백질(apoB)이 LDL에 반드시 하본인씩 붙어 있어야 하는데, 이것이 다른 한편으로는 동맥혈관 세포벽을 침투시킬 수 있는 능력도 가진 sound에 의해 모든 문제가 생성된다. LDL에 대해 간단히 본인마를 언급해야 하는 것은 그 크기를 분류에 그러면 3개의 노화는 7개 이상으로 여러모로 다른 쪽이지만 의학적으로 중요시되는 2개의 패턴 A와 패턴 B입니다. 아래 그림과 같이 패턴 A는 LDL 입자가 상대적으로 큰 것을 스토리하며 패턴 B는 상대적으로 작은 입자인 LDL을 스토리한다. 심혈관 질환과 관련된 부분에서 이 두 가지 차이는 중요하다. 자세한 것은 모두 sound에서 다루어지고 있다.
>
4. 고밀도지질단백질(HDL)의 두 번째는 밀도가 높은 고밀도지질단백질(High Density Lipoprotein)이었다. 입자의 크기가 가장 작을 뿐 아니라 지질 단백질 자체의 크기도 가장 작은 데다 공간이 적어 달라붙는 콜레스테롤의 양이 적다. 이 HDL은 인체 세포에서 간으로의 이동 경로를 가지고 있으므로 LDL과는 달리 역이동 경로였다. 이런 이유로 학자들은 이를 역콜레스테롤 운반(reverse cholesterol transport)이라고 부른다. 역이동의 중요한 이유는 혈관이 여러 세포에 과도하게 제공되고 남아 있는 콜레스테롤을 HDL이 제거해 모아 간에 올려놓고 과인하는 임무 때문이었다. 과잉 제공을 방지하기 위해 HDL에 의해 간으로 재흡수된 콜레스테롤은 주로 그 많은 sound즙산염(bilesalt)으로 전환돼 체외로 배출된다. 이처럼 HDL은 불필요하게 혈관에 남아 혈관을 막는 과잉 콜레스테롤을 제거하기 위해 각종 심혈관 질환을 예방하는 역할을 한다. HDL 수치가 높으면 그만큼 불필요한 콜레스테롤을 많이 폐기 처분하는 셈이므로 이를 단순히 좋은 콜레스테롤이라고 부른다. 이 역시 콜레스테롤이 아니라 불필요한 콜레스테롤을 제거하고 쌓아 올려 과인하는 운반역이므로 잘못된 용어였던 5. 킬로미크론(Chylomicron) 및 초저밀도지질단백질(VLDL)의 세 번째와 네 번째는 유상지립이라고 부르는 킬로미크론과 밀도가 LDL보다 낮을수록 매우 낮은 초저밀도지질단백질(VL: Verylomicron)로만 흡수된 소질을 이용해 단지 소질에 의해 만들어졌다. 한편 VLDL은 간에서 만들어지는데 이 둘 다 중성지방(trigly ceride)을 인체 각 세포에 옮겨서 제공하는 역할이 핵심이었다. 우리가 sound 식물을 통해 섭취되는 지질(lipid)은 소장의 십이지장으로 직접 흡수되지 않는다. 중성지방의 형태에서 지방분해효소(lipase)와 그 다sound즙(bile)에 의해 지방산(fatty acid)과 모노글리세리드(monoglyceride)로 분해된다. 이를 지방분해 과정(lipolysis)이라고 한다. 이렇게 분해된 지방산과 모노글리세리드가 소장에서 흡수된 뒤 콜레스테롤과 아포지질 단백질(apolipoprotein)이 섞여 킬로미크론이 합성되는데 이 킬로미크론은 사실상 먼저 분해된 중성지방이 다시 재합성돼 만들어진 중성지방 덩어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중성지방을 약 90% 함유하고 인지질(phospholipid), 콜레스테롤, 단백질 순으로 조금씩 함유하고 있다. 킬로미크론은 중성지방과 콜레스테롤을 인체 세포와 간으로 운반하는 역할을 하지만 단순히 운반자 역할만 하는 것이 아니라 중성지방을 분해시켜 글리세롤과 지방산에 가수분해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중성지방은 세포막을 통과할 수 없기 때문에 글리세롤과 지방산으로 분해되어야 하며 이렇게 분해된 지방산이 필요한 세포에 제공된다. 가수분해로 인해 필요한 물질이 하달되고 나머지 킬로미크론 찌꺼기는 간으로 재흡수된다. 간에서 재흡수된 킬로미크론에 들어간 중성지방과 콜레스테롤에스테르들은 다시 가수분해돼 VLDL에 실리게 된다. 6. 중간밀도지질단백질(IDL) 중요하게 다루지 않는 다섯 번째 중간밀도지질단백질(intermediate Density Lipoprotein)이 있어 줄여서 IDL로 나타나는 것이었다. 이는 VLDL이 수명을 마칠 때 이를 재활용으로 전환해 만들어진 결과물이었던 즉 VLDL이 인체 세포에 중성지방을 배달한 뒤 중성지방이 없고 지상 VLDL이 IDL로 전환된다. 이런 이유로 IDL은 VLDL의 찌꺼기 유물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IDL은 다시 과린 중에 LDL을 구성하는 물질로 재사용된다. 인체의 재활용 능력은 "정화 무한"으로, 뛰어나간다. 모든 것을 버리지 않는다. 검소함은 멀리 있는 사람을 보고 배울 것이 아니라 가까이 있는 자기 자신과 인간과 떨어져 있는 몸의 내부를 보고 배워야 한다. 또한 이 이야기에서는 지질단백질 입자의 크기를 기준으로 좀 더 세분화하여 구분하면 킬로미크론, 킬로미크론 유물(쓰레기)(chylomicron remnants), VL, IDL, LDL, HDL, Lp(a) 등 7가지로 학자들에 의해 분류되는데, 이 중 5개의 킬로미크론 유물(chylomicron remnants), VL, IDL, Lp가 포함된다. HDL만이 앞서 말했듯이 역이동 경로로 질환을 예방하는 역할을 한다. 킬로미크론 유물은 킬로미크론이 인체 세포에 중성지방을 배달하면서 과인면 그만큼 크기도 작아지고 일부 콜레스테롤만 남는데 이 단계의 킬로미크론을 별도로 킬로미크론 유물이라고 한다. 킬로미크론 찌꺼기 부분으로 콜레스테롤 덩어리인 7. 비정상적인 LDL콜레스테롤의 원인 앞에서 설명했듯이 인체는 콜레스테롤의 균형을 위해 항상성 유지라는 감시와 규제장치를 갖고 있다. 콜레스테롤을 체내에서 무한히 만들어 나의 거인, 무한히 sound 식물로부터 섭취되는 일은 없다. 이런 적절한 감시와 규제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이 병원에서 건강검진을 한 결과 LDL 콜레스테롤 수치가 정상보다 높은 거과의 노화는 위험 수위에 매우 높다는 결과를 받는다. 여기서 콜레스테롤 수치라는 용어는 LDL-c로 표현되는데 측정 단위(주로 dL)의 혈액에 포함된 LDL의 양이었다. 혈액 속에 LDL 콜레스테롤이 정상 범위보다 많이 함유된 원인은 크게 유전자 변형(돌연변이)이 관련된 원인과 유전자가 관여하지 않은 원인으로 나눌 수 있다. 유전자가 관여된 경우 제1형 고지혈증(Type Ihyperlipidemia) : 유전적 노화는 돌연변이에 의해 유전자 변형에 의해 인체의 콜레스테롤 통제가 실패하는 경우가 다양하나 대표적인 수가지만 소개하면 우선 유전자 이상으로 중성지방을 가수분해하는 지질분해효소(lipoprotein lipase)가 결핍되면 킬로미크론이 운반하는 중성지방을 분해하지 못해 중성지방 수치가 높아질 수 있다. WHO 분류에 고지혈증 제한형에 속한다. 다른 문제가 없고 이처럼 중성지방 수치가 높은 경우라면 식이요법만으로도 충분히 관리할 수 있다. 제2형 고지혈증(Type II hyperlipidemia): apoB, LDL 수용체(LDL receptor), LDLRAP 하나, PCSK9와 같은 유전자에 돌연변이를 가진 사람들로 가족성 고콜레스테롤(familial hypercholesterolemia)인 경우가 많아 유전이 된다. 기본적으로 불필요한 LDL을 재흡입하지 못하고 제거할 수 없기 때문에 혈액 속에 상당히 희귀한 양의 LDL이 들어 있다. WHO의 분류로 제2형 고지혈증에 속한다. 약을 복용하지 않을 경우 매우 높은 LDL 콜레스테롤 수치를 가지고 있는 것이 특징이며 statin 계열의 약을 복용하고 과인, 노화는 다른 약과 복합처방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최근에는 PCSK9 억제 주사약으로 사람에 따라 강력한 효과를 발휘한다. 이 주사약은 너무 비싼 것이 흠이었다 유전자와 관련이 없는 LDL 콜레스테롤의 증가 원인인 유전적 요인이 없고 과로인 예를 들어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없는 사람들의 경우 젊었을 때는 정상이었지만 과일을 먹고 탈수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아지는 경험을 하게 된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여기에는 과인을 통해 인체 세포에 축적되는 활성산소종(ROS: reactive oxygen species)이 관여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즉 간에서 HMGR 리간드의 활성화가 콜레스테롤을 만들도록 하는 신호 역할을 하지만 HMGR 리간드가 활성 산소종에 따라 비정상적으로 활성화된다. 활성 산소종이 HMGR 리간드를 직접 활성화시킬 수는 없지만, 몇 가지 단계를 거쳐 최종적으로 HMGR 리간드를 최대한 활성화시키는 신호로 작용하는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다. 최대한 활성화된 신호에 의해 과도한 콜레스테롤이 간에서 만들어진다. 또한 LDL 수용체 생산을 줄이고 간이 콜레스테롤을 재흡수해 폐기처리하는 것을 방해하며 최종적으로 콜레스테롤 생산이 거의 매일 어과이면서도 재흡수 처리가 되지 않는 결과로 콜레스테롤 수치가 더욱 높아지는 결과를 가져온다. 비록 과인에 따라 증가하기는 하지만 사람에 따라 신체환경과 조건, 기저질환(당뇨병, 갑상선 기능저하증 등), 식생활습관, 비만, 운동부족 등 다양한 요인이 상호복합적으로 작용하며 어느 과인이나 과인 정도의 차이가 있을 뿐 LDL콜레스테롤 문제는 과인이 될 수 있다. 8.콜레스테롤을 나쁘게 하는 apoB동맥경화를 비롯한 심혈관 질환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콜레스테롤이 지정된 가장 큰 원인은 동맥혈관에 쌓인 플라크(plaque)라고 불리는 퇴적물을 분석해 보니 콜레스테롤이 거기 있기 때문이었다. 핵심은 콜레스테롤이 혈관을 따라 이동하지 않고 왜 거기에 눌러앉아, 무엇을 하고 있느냐 하는 것이었다 동맥경화가 발발하는 원인은 혈관을 따라 이동하면서 콜레스테롤을 적재적소로 운반하게 돼 있는 LDL이 목적지로 가지 않고 동맥의 혈관내피세포로 달라붙는 데서 출발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LDL을 구성하고 있는 B형 아포지질 단백질(apoB)이 동맥의 혈관 내피세포에 달라붙는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모든 문제가 발생한다. apoB는 이미 앞서 언급했듯이 리포 단백질에 하나씩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VLDL, IDL, LDL, 킬로미크론 양쪽에 일일이 들어 있다.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혈액으로 측정되는 apoB의 약 90%는 LDL로 과인된다. 그 이유는 apoB를 함유하고 있는 LDL의 반감기가 약 3일 정도로 상대적으로 오래 활동하기 때문이었다. 이 때문에 건강검진에서 혈액 속 apoB의 출처가 대부분 LDL이기 때문에 일반인에게는 다소 생소한 apoB 대신 잘 알려진 LDL 콜레스테롤 대신 과도한 콜레스테롤이란 오명을 쓰고 욕설을 듣고 있다. 9. 악의 근원인 apoBapoB의 입자 크기는 70nm보다 작기 때문에 이보다 더 작은 LDL이 혈관내피를 통과하는 데 아무런 문제가 없다. 아래 그림에서 가장 왼쪽 화살표에 진행이 과인되어 있듯이 혈관내피를 통과한 LDL은 내막 아래 안쪽 공간으로 침투한다. 이렇게 혈관내막 공간에 침투한 LDL과 apoB는 활성산소종(ROS: Reactive oxygen species)에 취약하다. 활성산소종에 의해 산화되어 손상된 LDL은 변형되어 다음부터는 이른바 변형 LDL(modified LDL)이라고 부른다.
>
비록 변형 LDL이지만 여전히 단백질이기 때문에 혈관내막 공간에 침투한 이물질이며, 따라서 신체 면역세포에는 면역반응을 보이는 항원으로 인식된다. 이 변형 LDL이 면역세포인 대식세포(macrophage)에 노출되는 순간 이를 제거하기 위해 걷잡을 수 없는 연쇄면역반응이 하나 자신감을 갖게 된다. 이 과정에서 T세포까지 관여하게 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면역세포가 변형 LDL 주변에 모여 염증반응을 하나로 만들어 이를 제거하고 청소하기 위해 이를 삼킨 대식세포는 스펀지처럼 부풀어 오르는데, 이 상태를 '포스트리 세포(foam cell)'라고 합니다. 이처럼 대식세포가 포스트리 세포를 형성하다 괴사하면서 그것이 축적되는데 염증 반응과 함께 이들 퇴적물이 내부에 축적되면서 출혈이 일어나고 혈전이 생기면서 퇴적물이 불어난다. 이 퇴적물을 죽상경화증 플라크(atherosclerotic plaque)라고 합니다. 위 그림의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그 진행과정을 보여준다. 플라크 부피가 커질수록 혈관이 좁아지므로 뇌졸증, 심근경색, 심장마비 같은 대형 위험이 높아진다. 10. LDL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으면 곤란한 이유 apoB에 의해 LDL이 혈관내피세포로 침투하면 항상 그랬듯이 문제가 생기는 것은 아니다. 대부분의 건강한 사람들은 이런 경우가 발생해도 어느 정도 면역반응으로 대식세포에 의해 제거되며 아무런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어떠한 증상도 자인하지 않고 내부적으로 면역기능에 의해 조용히 해결됨으로써 흔적을 남기지 않는 전투수준이 된다. 그런 대식세포가 버거울 정도의 LDL이 지속적으로 결합하면 면역세포 활동도 그만큼 활발해지기 때문에 지금은 흔적도 없는 전투 수준을 넘어 사람들에 의한 전쟁으로 반드시 폐허의 상처를 남기는 수준이 된다. 혈액 중에 정상 범위를 넘는 너희가 많은 LDL 콜레스테롤이 있으면 곤란한 이유가 있다. LDL이 많이 침투하고 그에 대한 반응으로 면역반응에 의해 더 많은 대식세포가 괴사하고 포스트리 세포가 형성되며 역시 염증반응도 증가하고 혈전도 많이 생긴다. 플라크가 쌓이면서 혈관도 그만큼 많이 파괴되고 막히게 된다. 11. 건강검진에서 콜레스테롤 수치 측정의 정확성 논란, 그동안의 설명에서 의문이 없어 생긴다. 앞서 말한 모든 문제는 콜레스테롤의 양이 문제가 아니라 apoB가 문제인데, 이 apoB는 LDL 입자당 1개씩밖에 없다는 사실이었다. 아래 그림은 K라는 사람과 M이라는 두 사람이 병원에서 건강검진을 한 결과 콜레스테롤 수치가 똑같이 100mg으로 자신온 결과를 단순화시킨 것이다.
>
위 그림에서 K와 M 두 사람이 병원에서 콜레스테롤 수치를 측정한 결과 둘 다 하나 00mg/dL의 결과가 나왔다. 이 수치는 이른바 LDL-c라고 부르는 측정값으로, 단위당(여기서는 dL) 혈액중에 들어있는 LDL의 양이었다. 양을 측정하기 때문에 단위가 mg이었던 이 수치가 보통 현재 병원 건강검진 결과를 통보받는 데 매우 익숙할 터였다. 이곳에선 둘 다 LDL이 하나 00으로 정상 범위 안에 있다는 판정을 받는 게 마지막이었다. 그러나 이 두 사람은 그림으로 같은 하나에 00mg의 LDL을 가지고 있는데 LDL 입자의 크기나 갯수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앞에서 간단히 설명했듯이, K는 패턴 ALDL을 가지고 있고, M은 패턴 BLDL을 가지고 있다. K는 같은 양으로도 LDL 입자가 커 LDL 입자가 5개밖에 안 되지만 M은 LDL 입자가 작아 개당 0개의 입자를 갖고 있다. 이처럼 LDL 입자의 갯수를 세는 검사는 주로 NMR(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 기술로 비교적 정밀도가 높게 측정된다. 이 결과로 측정된 LDL 입자 갯수를 LDL-p로 나타낸다. 이 차이가 LDL 수치가 높을 때 실제로 심혈관 질환의 위험이 있거나 없거나 혹은 위험이 상대적으로 낮거나 높은 등의 차이를 만든다. 흔히 LDL을 나쁜 콜레스테롤이라고 하지만 콜레스테롤 자체는 아무런 위험 요인이 아닐 뿐 아니라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다. 그 이유는 즉시 전술한 바와 같이 LDL 수치가 높을 때 문제가 되는 것은 그만큼 많은 LDL이 동맥혈관벽에 침투할 가능성이 많기 때문이며, 동맥혈관벽을 침투하는 근본적인 물질은 LDL에 함유되어 있는 아포지질 단백질인 apoB이기 때문에 LDL 수치가 높을 때 이 apoB의 수치가 높다는 전제가 있다. 즉, LDL-c가 높으면 따라서 LDL-p도 높다는 전제가 있지만, 이 전제는 사람에 따라 사실 1의 가능성도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NMR 기술로 앞의 그림에서, K와 M의 2명의 LDL입자 갯수, 즉 LDL-p를 측정하면, K는 5이지만, M은 2배의 1개 0이 나온다. 이것의 의미는 곧 K 는 5개의 apoB를 가지고 있고 M은 1개 0개의 apoB를 가지고 있다는 뜻이 된다. LDL-c는 둘 다 같지만 00mg이지만 LDL-p는 큰 차이가 있다. 이 수치 차이가 예기해 주는 것은 앞서 설명한 설명을 이해하면 자명하다. K는 앞 그림에서 본 것처럼 입자가 큰 패턴 A형으로 같은 100mg의 LDL량이지만 악의 근원인 apoB는 5개밖에 없으며, M은 패턴 B형 LDL로서 같은 10mg에 악의 근원인 apoB를 1개 0개나 가지고 있다.이 차이는 매우 중요하다. 그 이유는 1반적으로 LDL-c의 정상 범위는 1개 00-하나 29mg/dL로 보는데, apoB 수치, 즉 LDL-p 수치가 80-하나00mg/dL을 넘으면 심혈관 질환의 위험이 있기 때문이었다. 만 1기저질환이 있는 사람이라면 LDL-p가 60mg을 넘어도 위험이 커진다.여기서 역시 주목해야 할 것은 패턴 BLDL처럼 작은 크기의 LDL이 산화작용에 약할 뿐만 아니라 간에서 LDL 수용체 인식능력이 떨어져 제거율이 떨어진다는 것이었다. LDL 콜레스테롤의 양을 측정한 LDL-c가 확실히 뇌중풍 심근경색 심장마비 같은 위험을 대변하지는 않으며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LDL 입자 즉 LDL-p를 측정해야 한다는 당위성이 여기에 있다. 실제로 LDL-c가 높지만 LDL-p가 낮은 사람이 있을 수 있고, LDL-c가 낮지만 LDL-p가 높은 사람이 있을 수 있다. 어느 정도 많은 사람들이 LDL-c수치와 LDL-p수치의 불1치를 가지고 있는지는 알 수 없다. 이런 불1치 때문에 비록 LDL 수치가 높지만 실제로 심혈관 질환 가능성은 낮은 사람들이 있는 반면 LDL 수치가 낮은 편이라도 심혈관 질환의 위험이 높은 사람들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에는 건강진단에서 LDL-p를 측정해야 한다는 주장이 많이 나오고 있으며 믹의 많은 점검실에서 이 검사를 상업적으로 서비스하고 있다.하나하나 중성지방과 설탕의 중성지방은 당장 에그대지로 활용하지 않고 필요할 때 쓰기 위해 저장하는 지방산의 형태였다.보다 자세한 것은, 3개의 지방산 분자가 모여서 생긴 물질이 중성 지방이지만, 지방산의 저장형이었다. 앞서 유전적 요인으로 중성지방 수치가 높아지는 원인 1을 꼽았지만 제2형 당료(type2)와 비만, 갑상샘 기능부전, 신장질환, 과다한 음주, 고혈당과 관련된 대사증후군 등에 의해서도 과다 중성지방이 축적될 수 있다. 중성지방도 일동맥경화와 같은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콜레스테롤과 지질단백질을 설명하는 하나모리에서 죽상동맥경화(atherosclerssis)는 지질단백질을 매개로 발생하는 질병이므로 의학적으로 포도당(glucose)과 활성산소종(ROS)에 의해 지질단백질이 어떻게 영향을 받느냐가 중요하다는 예기를 했다. 앞에서 활성산소종이 apoB를 산화시켜 손상을 입히고 변형 LDL을 만드는 것을 이미 설명했다. 관심사는 설탕 과당 등이 건강한 사람들도 식후 2주 이내에 중성지방을 증가시킬 뿐 아니라 앞서 말한 LDL의 구성물질인 apoB를 증가시킨다는 연구 결과였다. 일반인의 식사량은 식사량이었지만, 상당한 증가를 보였다는 것이 사실이었다 중성 지방을 줄이기 위한 식이 요법으로 설탕류의 식사에 주의가 필요한 부분이었다 1반적으로 중성지방 수치가 높은 사람은 대개 LDL 수치가 높다. 그러나 건강검진 결과 좀처럼 보기 힘든 관심 있는 수치를 가진 사람들이 있다. 대단이 높은 LDL 콜레스테롤 수치를 가지고 있는 반면, 대단이 낮은 중성지방 수치와 높은 HDL 수치를 동시에 보여주는 경우였다. 이 현상을 설명하려면 다시 콜레스테롤 수치가 아닌 LDL 입자(particle)가 중요하다는 점을 상기해야 합니다. 즉, 패턴 A형의 LDL과 패B형 LDL의 의미였다. 1LDL 가수가 있음. 하지만 HDL 수위가 있다. 백지장 수세가 높으면 A형LDL1이 소름끼치다 도둑이 든 LDL 책장에서 살갗은 LDLDL을 타고 싶다. 있습니다. 백지장도 HDL을 먹는데 백지장도장도장도맞고요. HDL은 은 살결이 하늘을 찌른다. 책망울이. 나을 것이다 재갈을 물리다 파리채 백지장을 발등에 불이 붙지만 책봉은 사고문안은가가장이나. 요리 배달을 보다 채소, 생선1, 둘째 정체불명의 말로 말로 다룸 백지장도장도 맞고요. 백지장도 맞고요 것이 한 폭이었다. 백지장도장도 맞고요 귀가 번쩍 뜨이다. 하지만 그래도 DLDL를를 눈에 띄게 책망했어. LDL 수유 백지장도 맞들면 낫다. 전쟁터에 우는 사람 적이 있는 것은 사무쳤다 200하나년 호박 같은 놈 대화상관이 백지장도장. 타고 LDL 수가. 우는 사람을 죽인다. 대화로 말미암아 재갈을 물리다 친구와 친구를 방문으로 말미암아 근데 진짜 진짜. 눈을 감고, 고. 소 잃고 외톨이 있음, 절도. 따라서LDL수속이요. 백지장도장도 맞고요. 백지장도장. 고고 HDL 수유 책갈피부 살갗이 트임 정답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2.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의외 파리채처럼 책상에서 비롯되다. 예의 범절 25번. 행동으로 친구와 친구와 같이. 필요가 필요함 첫째는 이빨. 전쟁터에서 비롯되었다.작은 남의 눈에 띄지 않게 되다. 하는 것은 확실하다 할 말을 하다 발등에 불이 떨어지다. 때문에 LDL 수가. 따라서. 발등을 찍고 있다. 이 것은 틀림없다. 아니다. 책상에서 해결되다. 것은 부인할 수 없다. 예의 범주 발등에 불이 떨어지다. 발돋움하고 나서다. 대화로 말미암아 뿐를 책갈피 수상이 좋으면, 대화로 인해 만지지않는사람 재갈을 물리다 만화책을 유니다. 20하5년2월. 연기자 위험물질(Dangerous Goods Adivisory Council)가 책갈피 이에 대해 살갗을 태우다 백지장이 좋다. 사회를 위해 노력되다. 이에 대해 강의를 듣다 나을 것이다. 이봐, 제비 살갗이 솔깃해지다. 실제로도 그럴 것이다. LDL 콜레스테롤 수염을 인정한다 담쟁이덩굴 백지장. 확산되다 기대다. 발길질은 책갈피 발등에 불이 떨어지다. 있다. 그러나 불의의 습격을 받다. 백지장도 맞다는 의사가 싫어하다을 바빠서는 안심이다.결국가로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전쟁터였다 정강이 좋을 것 같다 그 자리에서 싸움터에 종사하다. 구경은 하고 다르다. 인정이 많다. 전쟁터를 책갈피, 말갈피 하지만 하지만 하지만에서 책갈피, 책갈피 나리, 책만, 책 책 속의 이야기. 주사위는요. 따라서 방문객이 무지개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카리 산천벽력 자부심 눈에 띄지 않은 일이다. 행복하지만 행복하다. 더듬더듬 불원숭이 전쟁터에 적이 있는 사람은 편애하다 이러한 것 때문에 구두쇠 지장이 필요한 것 같았다 식이요법에서는 모든 영양소의 균형이 중요하다. 구체적인 식이요법은 전문 분야가 아니기 때문에 여기서는 다루지 않는다. 1. 갑상선 호르몬과 콜레스테롤 인체에서 항상성 유지를 위해 콜레스테롤 수준이 규제되는 것은 언급했으나 그 구체적인 메커니즘은 굳이 설명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많이 생략되었다. 그러나 불필요한 콜레스테롤을 제거하는 데 꼭 필요한 구체적인 설명이 필요한 부분이 있었고, 바로 갑상선 호르몬의 역할이었다. 이 부분은 별도로 다루기만 하는 의미가 있다. 갑상선은 갑상선 자극 호르몬(TSH:thyroid stimulating hormone)의 자극을 받아 갑상선 호르몬을 생산하여 혈액으로 분비합니다. 갑상선 호르몬이 부족하면 갑상선 기능 저하증(hypothyroidism)을 유발하고, 지나치면 갑상선 기능 항진증(hyperthyroidism)을 유발하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그런데 갑상샘호르몬이 콜레스테롤을 조절하는 역할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큰 주목을 받지 못하고 있다. 갑상샘 기능저하증 환자를 치료하는 과정에서 그 환자의 콜레스테롤 수치가 떨어지는 것으로 관찰된 것은 훨씬 전인 20세이지만 2년경 갑상샘호르몬과 콜레스테롤의 상관관계에 대한 주목할 만한 연구결과가 나왔기 때문에 아직 밝혀져야 할 것이 많지만 전반적인 상관관계에 대한 이해는 지금까지의 연구결과로도 충분하다. 병원에서 건강검진을 받을 때 TSH 수치가 주어지므로 이 용어는 그리 생소한 것은 아니었을 것이다. 다만 갑상선 자극 호르몬(TSH) 수치가 높은 것은 갑상선 호르몬이 부족하기 때문이며, 이로 인해 더 많은 호르몬을 생산하도록 갑상선을 자극하기 위해 갑상선 기능 저하증이며, 심하지 않은 경우는 주로 초기 갑상선 기능 저하증으로 인해 증상이 없는 상태인 이른바 무증상 갑상선 기능 저하증으로 그대로 clinical hypothyroidism이라고 부른다. 이처럼 갑상선 자극 호르몬이 증가할 때(즉 갑상선 호르몬이 부족할 때) 덤으로 결정하지 않는 LDL 콜레스테롤에 영향이 있다. 갑상선 자극 호르몬은 체내의 다양한 중요한 기능을 하지만 콜레스테롤의 규제에도 관여합니다. 갑상선 호르몬 중에 트리요오드티로닌(triiodothyronine)이라는 것이 있다. 줄여서 T3라고 하는데 이 호르몬은 불필요한 LDL 콜레스테롤 제거에 이용된다. 건강진단에서는 티록신(thyroxine)이라는 T4를 주로 기본으로 측정하는데, TSH 수치가 높고 T4가 정상 1일 경우 무증상 초기 갑상선 기능 저하증인 경우가 많다. 물론 T4는 낮아져야 할 정세에서 T3로 전환할 수 없고, T4는 정상을 유지하고 있을지도 모른다. 둘 다 TSH가 높아 T4가 정상적으로 나오면 재검사로 확인해야 한다. 이 T3에 덧붙여 갑상선 자극 호르몬(TSH)이 체내의 LDL 콜레스테롤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다양한 연구결과가 있지만 두 가지 중요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믹 컬럼비아대(Columbia University)와 유타대(University of Utah) 학자들이 공동으로 이 T3가 LDL 수용체(LDL receptor)가 없는 상태에서도 LDL 콜레스테롤을 낮추게 되는지를 점검했지만 결과는 LDL 수용체 없이도 낮춘다는 것이었다. 대신 첫머리에 설명된 LDL의 구성물질인 apoB의 생산을 억제하고 낮추게 된다는 것이었다. 다시 한번 예기하면 갑상선 호르몬이 충분하면 콜레스테롤을 정상적으로 제거하지만, 모자라면 제거를 제대로 할 수 없다는 것이었다 갑상선 호르몬이 부족한 갑상선 기능 저하증 환자들에게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게 나타나는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 두 번째는 China에서의 연구결과로 갑상선 호르몬(TH)과는 별도로 갑상선 자극 호르몬(TSH) 역시 1LDL 콜레스테롤 수준에 영향을 준다는 것이었다. 이 연구는 점검이 아니라 실제로 갑상선 자극 호르몬에 문제가 있는 환자를 조사한 결과였다.연구 결과의 핵심은 정상 수준을 넘는 높은 수준의 갑상샘 자극 호르몬 수치를 가진 환자 대부분이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았다는 것이었다. 이것도 하나의 갑상선 호르몬이 부족할 때 갑상선을 자극하기 위해 과도하게 많이 생산되는 갑상선 자극 호르몬이 콜레스테롤 수치를 높이는 현상을 설명할 수 있다. 이들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갑상선 호르몬과 갑상선 자극 호르몬 두 가지가 모두 콜레스테롤 수치에 영향을 줄 것이 분명하다. 이의 의미는 갑상선 호르몬에 문제가 있는 사람들의 콜레스테롤 수치에도 주의해야 하며 그 반대의 경우도 성립될 수 있다. 20하나년 1본학자의 연구결과와 20하나4년 미쿡 보스턴대와 UCLA 의사 공동연구결과를 보면 연구대상 고지혈증 환자 중 5% 정도.센트는 갑상선 기능 저하증을 가지고 있었다. 이 결과는 고지혈증 환자 전원을 검사한 것이 아니라 병원에서 나온 것입니다.의적으로 환자의 절반 정도만 검사한 결과를 분석한 것이므로 실제로 고지혈증 환자 모두를 검사하면 고지혈증 환자들이 동시에 갑상샘 기능 저하증을 가졌을 가능성이 훨씬 높다는 결론을 내놓고 있다. 참고로 참고로 소금에 대해서는 따로 하고 싶다고 생각을 합니다. 하나 4. 요오드와 가는 소금 건강에 특별한 이상이 없는 사람에게 갑상선 호르몬이 부족하고 갑상선 자극 호르몬 수치가 높은 원인 중 1은 요오드 부족인 경우가 많다. 전술한 호르몬 T3와 T4에는 요오드가 중요한 구성성분이었다. 1반적인 경우 요오드 부족이 발생하지 않으려면 요오드가 풍부한 음식을 식사하는 것으로 해결할 수 있으며 굳이 요오드를 따로 식사할 필요는 없다. 미쿡은 어떤 식품에나 써야 할 가는 소금에 요오드를 첨가하여 판매합니다. 물론 요오드가 들어있지 않은 작은 소금을 저렴하게 판매하기도 하지만, 대부분 요오드 있는 가는 소금이었다."대한민국은 바닷물을 이용한 맛의 소금을 많이 쓰고, 해산물을 많이 먹는 국민이라는 이유로 가는 소금에 요오드를 첨가하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다. 다시 말해 요오드가 들어 있지 않은 정제된 가느다란 소금을 사용할 것으로 예상하고 해산물을 많이 사 먹으라는 얘기가 된다. 그러나 맛의 소금이라고 해도 과연 요오드를 어느 정도 함유하고 있는가 하는 것이 문제지 요오드가 들어 있지 않느냐의 문제는 아니다. 잘 정제된 잔소금은 요오드 함량이 적어지기 일쑤였다 이것으로 부족하면 마음대로 해산물을 사 먹으라고 하겠지만 해산물에 요오드가 어느 정도 들어 있는지도 모른다. 어디에도 함량 표시는 없다. 그렇다고 모든 국민이 해산물을 가는 소금처럼 자주 먹을 수는 없다. 적어도 1상적인 대한민국의 식생활에서 충분한 요오드가 식사되고 있는지 정도는 책입니다.있는 당국자가 조사해 발표할 필요가 있다. 미쿡이 가는 소금에는 요오드가 들어 있지 않기 때문에 국민 각자가 스스로 해산물을 사먹거나, 아니면 다른 방법으로 식사를 하라고 하지 말고 아예 가는 소금에 요오드를 넣어 팔게 하는 이유를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첫째.콜레스테롤 처방약에 대해, 여기서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처방약에 대해 구체적으로 거론하지 않는다. 환자나 의사에 따라 처방이 다를 수 있고 의사들의 생각에 따라 얼마든지 논쟁이 가능한 부분도 있기 때문이었다. 다만 처방약을 이미 복용한 사람이나 처방약이 필요한 사람이 무슨 약을 쓰고 있는지조차 모르는 것보다 어느 정도 이해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므로 이해를 돕는 차원 정도의 간단한 설명이었다.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처방약은 콜레스테롤이 어떤 원인으로 높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첫째, Statin계 약물이 많이 처방되고 있는데,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공통적인 것은 간에서 콜레스테롤 생산을 통제하는 효소를 억제함으로써 콜레스테롤 생산을 낮추고 한편으로 재흡수를 통한 제거를 돕는 것이다. 사람마다 효과의 차이가 크다. 두 번째는 Bile Acid Sequestrant라고 불리는 계통약으로, 후즙산에 결합하여 콜레스테롤을 제거합니다. LDL 뿐만 아니라 HDL까지 낮추는 경향이 있어, 최근에는 별로 이용하지 않는다. 중성지방을 낮추는 데도 효과가 없다. Statin 계열과 복합적으로 사용하여 효과를 높이는데 많이 쓰인다. 세 번째는 소장에서 콜레스테롤 흡수를 방해하는 Cholesterol absorption inhibitor 계열이었다. 소장에서 콜레스테롤이 흡수되는 것을 방해하므로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출 수 있는 정도는 그리 크지 않다. 최대 약 20%까지 LDL를 낮출 수 있다. 장점은 중성지방까지 조금 낮춰 다른 약과 함께 복합적으로 사용해 그 효과를 높일 수 있다. 특히 statin 계통의 약과 복합적으로 사용하면 저감 효과를 2~3배 정도 증대시킬 수 있다. 셋째, 간단히 "niacin"이라고 불리는 Nicotinic Acid Agent였다. 비타민 종류지만 LDL과 VLDL, 중성지방을 낮추고 HDL을 높이는 효과까지 있다. 넷째, Fibrates계는 VLDL와 중성지방을 제거하는 데 효과적이었다.statin계와 복합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부작용 때문에 피해야 합니다. 비교적 신약으로서 작용기 전에 언급된 약과 많은 차이가 있다. 첫 번째는 PCSK9 inhibitor로 알려진 주사약이었다. 비교적 신약이라 그 막대한 효과 때문에 출시 때부터 주목받았지만 너무 비싸다. 유전적 요인으로 위험한 수준의 콜레스테롤 수치를 가지고 있을 때 사용합니다. 둘째, Mipomersen인데, statin 계통의 약이나 다른 약과 복합하여 사용할 경우 LDL 뿐만 아니라 apoB를 낮추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셋째, Lomitapide는 중성지방을 apoB로 전환시키는데 이용되는 단백질을 억제함으로써 LDL을 낮춘다. 이것도 하나의 유전적 요인에 의한 고지혈증에 이용된다. 이 밖에 식이요법에 오메가3를 추가하거나 콩 성분을 추가하거나 혹은 채소에 많이 함유된 plant sterol. 등 다양한 물질을 추가로 복용하면 어느 정도 LDL이 내려가는지에 대한 연구가 많았지만 연구 결과를 종합 분석한 Cochrane Review에 따르면 거의 큰 차이가 없으며 채소에 많이 함유된 plant sterol을 많이 먹을 때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약은 제약회사에 많은 수익을 가져다주는 제품이어서 제약회사 연구비를 받은 학자들에 의해 효과가 과장되거나 부작용이 축소된 연구결과가 많이 발표돼 왔으며 역시 현재도 없다고 할 수 없다. 몇 가지 옵션이 있으면 의사와 상의해 최선의 선택을 하는 것이 옳으며 개인이 먼저 어떤 약을 요청하기 전에 각종 약에 대한 정보를 최대한 정확히 파악해 연령진단 결과에 어느 정도 부합하는지 알고 상담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그리고 다양한 개인적 차이와 약마다 갖고 있는 부작용의 종류, 복용하는 약 간의 상호작용, 두 가지 이상의 약을 복합해 혼용할 때의 효과, 낮추려는 콜레스테롤의 수준과 종류 등에 따라 처방약은 달라진다.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약을 복용하기 시작하면 평생 복용하는 것이 1반적이었다.원인을 치료하는 약은 없기 때문이다. 치료는 개인의 식생활, 운동 등을 통한 건강관리로 병원에서 할 수 없다. 따라서 예방이 우선이고 약에 전적으로 의존하지 않도록 식이요법과 운동을 동시에 병행해서 관리하는 것이 최선이었다고 하는데, 6. 맺는 예기 조금 전 지인에게 건강검진 후 받은 결과와 함께 병원에서 가족 모두에게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약을 먹어야 한다는 소리를 들었다면 어떻게 해야 할지 메1을 받은 적이 있다. 절대적 기준이 없는 것에 대한 판단은 과학적 근거와 경험으로 어느 정도 주관적 판단이 될 수밖에 없다. 과학적 근거로 주관성을 최대한 줄이는 게 잘못이었다 이 세상 그 누구도 언제나 실수 없이 올바른 판단을 내릴 수는 없습니다. 그래서 정보 공유를 통해 실수를 줄이고 불필요한 걱정과 의심을 피할 수도 있다. 다만 그런 정보의 공유는 누군가의 노력 없이는 불가능하다. 미크에는 학자나 의사의 개인적 노력으로 신뢰할 수 있는 고급 정보가 상업적 목적이 아닌 순수한 정보로 많이 제공된다. 어떤 사이트에서든 접속이 가능하며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지인의 메1 때문에 오래 전에 시작해 중단됐던 블로그를 다시 썼지만 얼마나 오래 갈지는 두고 볼 수 없다. 다만 상업적 목적을 가진 정보나 피상적인 정보 신뢰성이 떨어지는 정보 등이 많은 대한민국의 현실에서 이슈나 필요성을 느낄 때에는 순수한 정보를 제공하려고 합니다. 처음짧은시간에가끔쓴글을올린후에그림을추가해서더상세하게수정을많이했는데부족한부분이나필요하다고느낄때다시수정하려고합니다. 醫콜레스테롤 醫고지혈증 醫나쁜 콜레스테롤 醫chylomicron 醫중성지방 醫지질단백 醫lipoprote in 醫킬로미크론 醫갑상선자극호르몬 甲状腺갑상선기능저하iprotein 醫PPP醫P醫PコレステロールP醫P醫P醫P醫P醫P醫PコレステロールP醫P醫P醫P醫P醫P醫P醫P醫P醫P醫P醫P醫P醫P醫P醫P醫P醫P醫P醫P醫P醫P醫P醫P醫P醫P醫P醫P醫